분류 전체보기 179

모델 -기반 강화학습

모델-프리 알고리즘에서 벗어나 환경 모델을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알아봤다. 이러한 종류의 알고리즘을 개발하도록 영감을 준 패러다임 변화릐 주요 원일을 살펴봤다. 모델을 다룰 떄 발견 할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사례를 구분 모델을 사용해 다음 행동을 계획하거나 폴리시를 학습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이 방법을 선택하는데 정해진 규칙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행동의 복잡도, 관측공간, 추론 속도와 관련 있다. 다음으로 모델-프리 알고리즘의 장,단점을 조사하고 모델-프리 알고리즘과 모델-기반 학습을 결합해 모델-프리 알고리즘으로 폴리시를 학습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알아봤다. 이방법은 이미지 같은 고차원 관측 공간에서 모델을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보여줌 모델-기반 알고리즘과 관련된 모든 자료를 더 잘 파악하기 위해 ME-..

DDPG와 TD3 애플리케이션

두가지 강화학습 문제 해결 방법의 장점을 결합한 방법을 알아봤다. 첫번째, Q-러닝 알고리즘 : 상태-행동 값을 추정해 최고의 다음 행동을 선택 두번째, 폴리시 그래디언트 알고리즘 : 그래디언트를 통해 예상 보상 폴리시를 최대화 두 접근법의 장,단점을 살펴봤고 대부분의 방법이 상호보완적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예를 들어 q-러닝 알고리즘은 샘플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만 연속형 행동을 처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폴리시 그래디언트 알고리즘은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해 샘플을 비효율적으로 이용하지만 연속형 행동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PG메서드: q-러닝과 폴리시 그래디언트 기술을 결합 DPG 메서드는 결정론적 폴리시 deterministic policy를 예측해 q-러닝 알고리즘의 전역 ..

[MLOps][Infra]MLOps에 jenkins CI/CD 적용 가능한 구조 고르기

고객의 가치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것 DevOps의 목적이고, 이를 위해 CICD를 사용한다. CI = 지속적인 통합 + 자동화 CD = 지속적인 배포 + 자동화 https://secrethub.io/blog/decouple-application-secrets-from-ci-cd-pipeline/ MLOps flow 데이터 준비 -> 모델 구현 -> 모델 배포 MLOps에 jenkins CI/CD 적용 하기 1,2 두가지에 적용이 가능하다. -> 2의 빌드에 1을 걸고, 1,2 의 트리거는 2를 바라보게 만들..면 되...나? 그림 1의 1. 1. jenkins -> (seldom) -> mlfolw https://ichi.pro/ko/lokeol-meosin-ui-gandanhan-mlops-p..

Infra/MLops 2022.01.18

jenkins CI/CD

1. jenkins -> mlfolw model ( seldom 사용 ) https://ichi.pro/ko/lokeol-meosin-ui-gandanhan-mlops-paipeu-lain-241425055604529 로컬 머신의 간단한 MLOps 파이프 라인 클라우드로 전환하지 않고는 기업 외부에서 어떤 종류의 운영 경험도 얻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간단한 이유는 클라우드로 전환하지 않는 것이 거의 이점이 없기 때문입니다. ichi.pro 2. jenkins -> ?Model (flask 사용 ) https://cloud-oky.tistory.com/249 Python, Docker, Flask, GitLab, Jenkins를 사용하여 NLP 모델 빌드 및 배포 (CI/CD 구현 완료) www.y..

Infra 2022.01.18

[airflow][crontab] 시간 설정

airflow DAG안에 schedule_interval 에서 시간 설정을 할 수 있다. schedule_interval의 스크립트는 crontab 서식과 같다. ex ) # 매일 9시 30분에 동작 schedule_interval="30 09 * * *", Airflow = schedule_interval =" * * * * * " crontab = * * * * * " * * * * * " 순서대로 * 분 : 1분단위로 가능 (0 ~59) // * 일때 : 1분 단위로 실행 * 시 : 매 시간 가능 (0~23) // * 일때 : 매시간 실행 * 일 : 일 (1~31) // * 일때 : 매일 실행 * 월 : 월 (1~12) // * 일때 : 매달 실행 * 요일 : 요일 (0~7)가능 // * 일때 : ..

Infra/MLops 2022.01.18

TRPO와 PRO 구현

- 연속행동으로 에이전트를 제어하기 위해 폴리시 그래디언트 알고리즘을 로보스쿨이라는 환경이 적용 두가지 폴리시 그래디언트 알고리즘: TRPO, PPO 이알고리즘은 환경에서 샘플링한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하고 2개의 순차적 폴리시 분포의 차이를 제한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샘플효율성,견고함 robustness, 신뢰성 덕분에 TRPO와 PPO는 DOta 같은 매우 복잡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AC와 Reinforce뿐만 아니라 PPO와 TRPO는 확률적 그래디언트 알고리즘 이다. 폴리시 신경망은 연속형 에이전트를 어떻게 제어하는가? 그래디언트외의 함수 곡률을 사용하는것. 곡률 정보는 2차 미분을 계산해 구할 수 있다. 곡률값이 클수록 두 점 사이의 그레디언트가 급격하게 변화한다는 뜻이며, 예방책으로 상..

확률 기반 PG최적화 학습

- 폴리시 그래디언트 메서드 - Reinforce 알고리즘 PG메서드의 더 간단한 버전을 Reinforce라고 함 Reinforce는 완전한 궤도로부터 실제 리턴true return을 계산하는 MC리턴의 특성으로 편향이 없는 unbiased 좋은 특성을 가지고있다. 하지만, 이러한 불편 추정unbiased estimate은 궤도의 길이에 따라 값이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 분산에는 바람직 하지 않다. 간단한 reinforce는 편향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분산variance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단점이 있다. - 베이스라인이 있는 Reinforce 베이스라인을 추가하면 불편 특성을 유지하는 동안(근사적으로 이알고리즘은 로컬 최소값에 수렴한다.) 분산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베이스라인이 있는 Reinforc..

확률 기반 PG최적화 학습

- 폴리시 그래디언트 메서드 - Reinforce 알고리즘 PG메서드의 더 간단한 버전을 Reinforce라고 함 Reinforce는 완전한 궤도로부터 실제 리턴true return을 계산하는 MC리턴의 특성으로 편향이 없는 unbiased 좋은 특성을 가지고있다. 하지만, 이러한 불편 추정unbiased estimate은 궤도의 길이에 따라 값이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 분산에는 바람직 하지 않다. 간단한 reinforce는 편향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분산variance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단점이 있다. - 베이스라인이 있는 Reinforce 베이스라인을 추가하면 불편 특성을 유지하는 동안(근사적으로 이알고리즘은 로컬 최소값에 수렴한다.) 분산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베이스라인이 있는 Reinforc..

Deep Q-Network

DQN알고리즘 3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 - 데이터 수집과 저장 : 데이터는 행동 폴리시 behavior에 의해 수집한다. - 신경망 최적화(버퍼에서 샘플링한 미니 배치에 대해 SGD를 수행한다.) - 타깃 업데이트 DQN 구현 DQN코드안 네가지 주요 구성 요소 - DNN - 경험 버퍼 - 계산 그래프 - 훈련 및 평가 루프 Q-러닝과 결합해 심층 신경망을 사용할 수 있었던 최초의 알고리즘은 DQN이다. 이 알고리즘은 두가지 핵심 요소를 통합해 학습 안정화와 아타리 2600게임 같은 복잡한 작업을 제어할 수 있었다. 사용한 두 가지 핵심 요소는 기존 경험을 저장하는데 사용한 리플레이 버퍼replay buffer와 온라인 네트워크 online network 보다 업데이트 빈도가 낮은 별도의 타깃 네트워크..

Q-러닝과 SARSA 애플리케이션

환경과 상호작용해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새로운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소개했다. 이방법은 환경 모델에 의존하지 않고 폴리시와 가치함수를 학습한다는 점에서 동적 프로그래밍과는 다르다. 몬테카를로 방법이 환경에서 간단하게 샘플링하는 방법이지만 학습하기 위해서는 완전한 궤도가 필요하므로 많은 실제 환경에 적용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부트스트레핑을 몬테카를로 방법과 결합한 TD학습 방법을 사용했다. 이 알고리즘은 부트스트레핑 기술을 이용해 온라인으로 학습하고 분산을 줄이면서 최적의 폴리시에 수렴하게 하는 방법이다. 강화학습에 사용 되는 몬테카를로 메서드의 주요 특징은? 몬테카를로 메서드가 오프라인인 이유는? TD학습의 두 가지 주요 아이디어는? 부트스트레핑을 몬테카를로 방법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