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20

[운영체제] 6. cpu스케쥴링

6. CPU 스케줄링CPU가 하나의 프로세스 작업이 끝나면 다음 프로세스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때 다음 프로세스가 어느 프로세스 인지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CPU Scheduling 알고리즘이라 한다. 간단히 생각해보면 먼저 온 프로세스가 먼저 실행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라 생각 할 수 있다. 하지만 여러 상황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환경에서 꼭 이러한 방법이 좋다고 할 수 없다. (단순한 환경에서도 이 방법이 반드시 빠른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CPU 스케줄링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한다.1. Preemptive VS Non-preemptive1.1 PreemptivePreemptive(선점)은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고 있는 동안 I/O나 인터럽트가 발생한 것도 아니고 모든 작업을 끝내지도 않았..

Etc 2024.06.03

[운영체제] 5. 프로세스 관리

5. 프로세스 관리1. 프로세스(Process)프로세스는 메인 메모리에 할당되어 실행 중인 상태인 프로그램을 말한다.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하드디스크(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상태이다. 프로세스는 실행하면서 stack pointer, data, text, register등이 끊임 없이 변한다. 프로세스는 job, task등으로 불리기도 한다.1.2. 프로세스 상태New: 프로그램이 메인 메모리에 할당된다.Ready: 할당된 프로그램이 초기화와 같은 작업을 통해 실행되기 위한 모든 준비를 마친다.Running: CPU가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한다.Waiting: 프로세스가 끝나지 않은 시점에서 I/O로 인해 CPU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작업을 한다. (해당 작업이 끝나면 다시 CPU에 의..

Etc 2024.06.03

[운영체제] 4. 운영체제 서비스

4. 운영체제 서비스운영체제의 주요 서비스는 하드웨어 자원을 각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적절히 분배해주는 것이다. 하드웨어 자원은 CPU, 메인 메모리, 하드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등이 존재한다.이러한 하드웨어 자원을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거나 운영체제 내의 규칙에 의해 적절히 분배하여 컴퓨터의 성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이를 실현하기 위해 운영체제 내에서는 각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기능을 다음과 같이 나눈다.프로세스 관리주기억장치 관리파일 관리보조기억장치 관리입출력 장치 관리네트워킹보호기타1. 프로세스 관리(Process management)프로세스 관리는 운영체제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프로세스와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구분된다. 프로세스는 실제 메인 메모리에..

Etc 2024.06.03

[운영체제] 3. 이중 모드와 보호

3. 이중모드와 보호현재 컴퓨터 환경은 여러 사람이 동시에 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서버 컴퓨터)하나의 컴퓨터 내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특정 컴퓨터나 프로그램에서 잘못된 동작으로 인해 다른 컴퓨터(프로그램)가 영향을 받는다면 이는 매우 위험하다.cf. [STOP], [HALT], [RESET]과 같은 명령어로 전체 컴퓨터의 동작이 멈추거나 꺼지는 경우가 있음 → 이러한 치명적인 명렁어들을 요청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중모드가 생김1. 이중 모드(Dual mode)모드를 아래와 같이 둘로 나눔사용자(User) 모드관리자(Supervisor) 모드 = 시스템(System)모드 = 모니터(Monitor)모드 = 특권(Privileged)모드특권 모드에서만 내릴 수 있..

Etc 2024.06.03

[운영체제] 2.운영체제 역사

2. 운영체제 역사1. 초기 컴퓨터운영체제는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같이 발전하게 되었다. 초기 컴퓨터는 크게 3가지로 구성되었다. 카드리더, 프로세서, 프린터이다. 카드 리더는 입력기이다. 입력은 종이에 입력할 코드에 맞는 구멍을 뚫어서 넣어주는 방식이었다. 프로세서는 현재와 비슷한 계산하는 역할이었고, 프린터는 입력에 대한 결과를 종이에 찍어서 보여주었다. 이 시기에는 운영체제도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오퍼레이터(operator)라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직업이 따로 있었고, 컴퓨터의 크기 또한 너무 커서 건물 전체를 사용해야할 정도 였다.2. Batch processing system (일괄 처리 시스템)위에서 초기 컴퓨터 상황을 살펴보았는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마다 컴파일 → 링크 → 로딩 → 순서를 오..

Etc 2024.06.03

[운영체제]1. 운영체제란

1. 운영체제란?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이다.우리가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실행한 모둔 프로그램들은 운영체제에서 관리하고 제어한다.대표적인 운영체제는 windows, Linux, Max OSX, iOS등이 있다.1. 운영체제 목적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것이다. 컴퓨터에는 수많은 하드웨어가 존재한다. CPU, 메모리, 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네트워크 등이 있으며 이를 잘 관리 해주어야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운영체제의 성능이 좋을 수록 컴퓨터의 성능 역시 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운영체제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운영체제가 없다면 위에서 말한 ..

Etc 2024.06.03

골프 용어 정리

궁금해서 찾아봄 ●어드레스 (Address) = 스윙의 1단계. 스윙을 하려고 발의 위치를 정하고 공에 클럽 페이스를 겨누는 것. 스윙의 7단계 중 가장 편안한 자세이다. ●AGG (Aggregate) = 모든 라운드의 경기 결과를 합산한 결과. ●에어 샷 (Air Shot) = 헛 스윙으로 공을 맞히지 못하는 스윙을 말함 ●알바트로스 (Albatross) = 한 홀에서 파보다 3타 적게 홀인 하는 것. 5홀을 2타로 넣었을 경우로 미국에서는 더블 이글이라고 함. ●어프로치 샷 (Approach Shot) = 그린 가까운 곳에서 핀을 향해 공을 치는 것으로 흔히들 쇼트게임 (Short Game) 이라고 부름. 칩 어프로치 (Chip Approach)ㆍ피치 어프로치 (Pitch Approach)ㆍ러닝 어프..

Etc 2022.11.02

colab VS paperspace Gradient

공부하던 중 Gradient가 보이길래 검색해보았당 사양은 colab이 조금 더 좋아 보이나, 필요에 따라 Gradient를 사용해도 좋을 것 같다. 이번에는 Gradient를 사용해봐야겠다. 딥러닝을 공부하려면 고성능 컴퓨팅 자원 (특히 GPU) 를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가난한 학생 입장에서 고성능 컴퓨터를 맞추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무료로 고성능 GPU를 활용 할 수 있는 Google Colabatory (이하 Colab)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Colab에도 몇가지 단점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단점 은 아래와 같습니다. 예기치 않은 세션 종료 (일정 시간 이상 자리비움 혹은 12시간 이상 세션 사용) 세션 종료 시 데이터 소멸 별도의 저장공간 제공 X 세션이 종료 되면 그동안 학..

Etc 2022.10.25

In-memory DB

실시간 서비스를 위해 찾아보다 알게 된 in memory DB In-Memory Database IMDB, 혹은 MMDB(Main Memory DBMS)라고도 한다. 주요 기업 및 제품은 아래와 같다. Amazon ElastiCache (미국) Redis (미국) 레디스(redis, Remote Dictionary Server)는 in-memory 기반의 키-벨류 스토어(key-valueStore)이다. 성능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바로 처리하므로 메모리 기반의 데이터 베이스에 비해서 빠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의 경우에 다른 저장소는 기본적인 프리미티브 타입(primitive Type)만을 제공하는데 반해 레디스는 문자열(string), 스트링 집합(set), 해쉬(hash), 리스트(List)등의 ..

Etc 2022.10.04

DAS란? / NAS란? / SAN 이란

https://cheershennah.tistory.com/168 스토리지란? DAS란? / NAS란? / SAN 이란? 차이점? 스토리지(Storage)란?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며, 스토리지를 직접 서버에 연결 할 수 있음. 대용 cheershennah.tistory.com NAS 내용 찾아보던 중 , DAS, NAS, SAN 차이정리해둔거 보고 가지고 옴 DAS /NAS /SAN 비교 정리

Etc 2022.02.08
반응형